빠빠의 금융이야기

전체 글 40

4월 금통위, 기준금리 동결, 하반기 금리 인하 가능성

지난 4월 12일 금요일에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가 있었습니다. 이번에도 어김없이 동결! 이변은 없었습니다. 역시 갈 길은 먼 것인지... 시장은 작년 연말부터 내달리고 있었는데, 과연 어떻게 될까요? 오늘은 한국은행 4월 금통위 결과를 살펴보겠습니다. 1. 4월 금통위 결과 앞서 말했지만 이번에도 기준금리는 3.5%로 동결입니다. 2023년 2월 금통위부터 10회 연속 동결이네요. 물론 만장일치 동결! 기준금리가 동결될 거라는 것은 모두가 아는 사실이었으니 그리 놀랍지는 않네요. 2. 통화정책방향문 내용 기준 금리 동결에 대한 이유는 물가 상승세가 여전히 예상대비 높은 수준이고, 다른 나라의 통화정책과 환율, 지정학적 리스크가 모두 불확실하기 때문입니다. 각국의 통화정책을 살펴..

채권, 금리 2024.04.19

SK렌터카 매각 우선협상대상자로 어피니티 선정, 매각가 8,500억원

4월 16일 SK네트웍스는 자회사인 SK렌터카 매각을 위한 우선협상대상자로 어피니티 에쿼티 파트너스를 선정했다고 밝혔습니다. 지분 100%, 매각가는 약 8,500억 원입니다. 제가 예전에 SK렌터카 상장폐지 당시 SK네트웍스가 향후 SK렌터카를 매각하기 위함이라고 이야기했었는데, 그게 사실이 되었습니다. 1. 어피니티 에쿼티 파트너스 어피니티는 과거 UBS 산하에 있었던 투자회사입니다. 말레이시아인 Tang Kok Yew와 삼성전자 출신 박영택 전 어피니티 회장이 함께 독립한 회사입니다. 국내에는 나름 굵직한 사모펀드가 꽤 많습니다. 한앤컴퍼니와 MBK파트너스는 국내 약정액만 각 10조 원에 달합니다. 글로벌로 본다면 블랙스톤(Blackstone)이 운용규모 8,800억 달러로 세계 1위며 아폴로 매니..

기업, 주식 2024.04.16

멈출 줄 모르는 미국의 물가 서프라이즈 행진

지난 화요일 미국 2월 소비자물가지수 발표가 있었습니다. 이번에도 어김없이 시장 컨센서스를 상회했네요. 1월 소비자물가지수도 예상치를 상회했었습니다. 유럽, 한국, 중국 모두 기를 못 펴는 상황에서 미국만 선전하는 가운데, 오늘은 미국 2월 CPI와 생산자물가지수(PPI) 등 이번주에 발표된 지표들을 살펴보겠습니다. 1. 미 2월 CPI 2월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는 연율 3.2%로 예상치인 3.1%를 넘어섰습니다. 전월대비로는 0.4% 상승하며 컨센서스와 일치하였네요. 금번 CPI 상승을 이끌었던 항목은 에너지가격입니다. 전월대비로 유가가 3.8% 상승하며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여줬네요. 작년부터 안정세를 나타내던 유가가 다시금 80불에 도달하였습니다. 유가상승은 인플레이션의 근본 원인이죠. 작년 3월 ..

3월 ECB 결과 및 향후 전망

지난 3월 7일에는 2월 ECB 통화정책회의가 열렸습니다. 정책금리는 어김없이 동결하였죠. 이번에는 새롭게 향후 경제 전망이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오늘은 3월 ECB 결과와 향후 전망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ECB 결과 목요일에 열렸던 3월 통화정책회의에서 ECB는 기준금리를 4.5%, 예금금리를 4.0%, 한계대출금리를 4.75%로 모두 동결하였습니다. 2023년 10월 ECB부터 4회 연속 동결 기조입니다. 여기서 기준금리는 ECB가 공개시장에서 사용하는 일주일자리 RP 금리를 말하고, 예금금리는 시중은행들이 ECB에 돈을 예금했을 때 주는 하루짜리 금리죠. 그리고 한계대출금리는 예금금리와 반대로, 은행에게 빌려주는 하루짜르 대출 금리입니다. 이후 ECB는 성명서를 통해서 현재 기준금리 수준을 ..

채권, 금리 2024.03.13

티와이홀딩스의 SBS미디어넷 매각과 태영건설 워크아웃 지원

지난 2월 23일에는 티와이홀딩스가 자회사인 SBS미디어넷을 SBS의 자회사인 스튜디오프리즘에 매각하기로 공시하였습니다. 오늘은 워크아웃 진행 중인 태영건설의 자금 지원 일환으로 미디어 계열사의 지배구조 개편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1. 티와이홀딩스의 SBS미디어넷 매각 공시 2024년 2월 23일 티와이홀딩스는 자회사인 SBS미디어넷을 매각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인수 대상자는 스튜디오프리즘으로 SBS의 자회사입니다. SBS는 티와이홀딩스의 자회사죠. 결국 SBS미디어넷은 티와이홀딩스의 자회사에서 증손자회사로 내려가게 되는 것입니다. ※ 태영그룹 지배구조 (기존) ㆍ티와이홀딩스 → SBS (지분 36.9% 보유) → 스튜디오프리즘(지분 100% 보유) ㆍ티와이홀딩스 → SBS미디어넷..

기업, 주식 2024.03.01

쿠팡 흑자 전환, 14년 만에 연간 흑자 달성

쿠팡의 2023년 4분기 실적이 발표되었습니다. 2010년 설립된 이후 무려 14년 만에 연간으로 흑자를 달성했습니다. 대단한 기록을 세우고 있는 쿠팡의 2023년 실적에 대해서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1. 흑자 전환한 쿠팡 쿠팡은 미국에 있는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상장되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분기보고서 및 연간 사업보고서를 뉴욕증권거래소 양식에 맞게 제출하는데요. 2023년 실적을 한번 같이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매출은 '23.4분기 $6.6bn (원화 8.8조 원)을 올려, 연간으로 $24.4bn (원화 32.6조 원)을 달성하였습니다. 32조 원이라니 엄청난 숫자인데요. 물론, 이 매출이 온전히 쿠팡이 올린 매출이라기 보단, 비즈니스 구조상 판매자의 상품을 쿠팡이 재고로 보관하고(매..

기업, 주식 2024.02.28

효성 인적분할, 배당 축소 실망감으로 주가는 하락

지난 2월 23일에는 효성 그룹의 지주회사인 (주)효성이 회사분할을 공시했습니다. 인적분할 방식으로 회사를 분할하게 되는데, 오늘은 효성의 인적분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인적분할 vs 물적분할 먼저 인적분할과 물적분할에 대해서 설명을 해볼게요. 인적분할은 주주들에게 주식을 소유한 비율대로 분할 된 회사의 주식을 나눠주는 형태입니다. 효성은 인적분할의 케이스이므로 기존주주들은 존속회사와 신설회사 모두의 주식을 가지게 되겠네요. 물적분할은 신설회사의 주식을 모회사인 기존회사가 100% 소유하는 분할 형태입니다. 2020년 LG화학이 LG에너지솔루션을 물적분할 후 에너지솔루션을 상장시키며 10조 원의 현금을 확보했던 사례를 들 수 있습니다. 2. 효성의 인적분할 효성의 회사분할 관련 공시 내용..

기업, 주식 2024.02.27

한국은행 2월 금융통화위원회 기준금리 동결, 금리 전망

오랜만에 글을 작성하게 됐네요. 지난 2월 22일에는 한국은행에서 2월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가 있었습니다. 역시는 역시, 역시였군요. 결과는 기준금리 동결이었습니다. 오늘은 금통위 기준금리 결정 결과와 시장반응, 향후 방향을 살펴보겠습니다. 1. 2월 금통위 결과 앞서 말씀드린 대로 금융통화위원회는 2월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3.5%로 만장일치 동결하였습니다. 9회 연속 기준금리 동결 결정이네요. 2. 통화결정방향문 주요 내용 통화결정방향문을 살펴보며 한국은행이 생각하는 현재 경제 상황과 향후 전망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기준금리 동결 이유 한국은행은 물가상승률이 둔화 추세를 이어가지만 여전히 전망의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라고 언급하였습니다. 1월 금통위와 달라진 것은 '..

채권, 금리 2024.02.25

미국 1월 소비자물가 발표 서프라이즈, 시장 반응 정리

또 또... 미국이 서프라이즈를 일으켰습니다. 1월 CPI 발표치가 예상을 뒤엎고 상승하였는데요. 이제는 경기 침체 가능성이 제거된다를 넘어 노랜딩(No landing) 이야기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전일 발표된 미국 1월 소비자물가 발표 내용 살펴보시죠. 1. 미국 1월 CPI 서프라이즈 미국 1월 소비자물가지수는 2개월 연속으로 서프라이즈를 기록했습니다. 1월 미국 CPI YoY는 예상치 2.9%를 넘어 3.1%를 기록했습니다. 2%대 물가상승률을 기대하며 금리 인하에 가까워지는 게 아닌가 했던 게 엊그제 같은데, 끝내 2%대 물가상승률이 아직까지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지난 12월 소비자물가지수도 연율 3.4%를 기록하며 예상치인 3.2%를 넘었는데, 2개월 연속으로 서프라이즈입니다. 미국 1월 CP..

멈출 줄 모르는 미국 고용 시장과 ISM PMI 서프라이즈

미국 경기는 식을 줄 모르고 달려갑니다. 뉴욕과 리치먼드 제조업 지수 하락에도 불구하고 ISM 제조업, 서비스업 PMI는 서프라이즈를 기록했습니다. 또한, 고용시장 또한 탄탄한 모습을 보여주는데요. 오늘은 최근 미국 경제 지표를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1. 미국 ISM PMI 먼저 살펴볼 지표는 ISM 제조업 PMI와 ISM 서비스업 PMI입니다. 앞서 뉴욕주 엠파이어스테이트 제조업 지수가 급락했었는데요. 이후 리치몬드 제조업 지수도 하락하였지만, S&P PMI가 서프라이즈로 나오면서 1월 ISM 제조업 PMI에 대한 시장의 궁금증은 커져갔습니다. 결과적으로 서프라이즈가 나오면서, 미국 경기가 침체에 빠질 가능성이 점차 옅어지는 모습입니다. 물론, 49.1 포인트로 기준치인 50을 하회하며 확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