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경제 공부' 카테고리의 글 목록

금융, 경제 공부 13

멈출 줄 모르는 미국의 물가 서프라이즈 행진

지난 화요일 미국 2월 소비자물가지수 발표가 있었습니다. 이번에도 어김없이 시장 컨센서스를 상회했네요. 1월 소비자물가지수도 예상치를 상회했었습니다. 유럽, 한국, 중국 모두 기를 못 펴는 상황에서 미국만 선전하는 가운데, 오늘은 미국 2월 CPI와 생산자물가지수(PPI) 등 이번주에 발표된 지표들을 살펴보겠습니다. 1. 미 2월 CPI 2월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는 연율 3.2%로 예상치인 3.1%를 넘어섰습니다. 전월대비로는 0.4% 상승하며 컨센서스와 일치하였네요. 금번 CPI 상승을 이끌었던 항목은 에너지가격입니다. 전월대비로 유가가 3.8% 상승하며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여줬네요. 작년부터 안정세를 나타내던 유가가 다시금 80불에 도달하였습니다. 유가상승은 인플레이션의 근본 원인이죠. 작년 3월 ..

미국 1월 소비자물가 발표 서프라이즈, 시장 반응 정리

또 또... 미국이 서프라이즈를 일으켰습니다. 1월 CPI 발표치가 예상을 뒤엎고 상승하였는데요. 이제는 경기 침체 가능성이 제거된다를 넘어 노랜딩(No landing) 이야기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전일 발표된 미국 1월 소비자물가 발표 내용 살펴보시죠. 1. 미국 1월 CPI 서프라이즈 미국 1월 소비자물가지수는 2개월 연속으로 서프라이즈를 기록했습니다. 1월 미국 CPI YoY는 예상치 2.9%를 넘어 3.1%를 기록했습니다. 2%대 물가상승률을 기대하며 금리 인하에 가까워지는 게 아닌가 했던 게 엊그제 같은데, 끝내 2%대 물가상승률이 아직까지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지난 12월 소비자물가지수도 연율 3.4%를 기록하며 예상치인 3.2%를 넘었는데, 2개월 연속으로 서프라이즈입니다. 미국 1월 CP..

멈출 줄 모르는 미국 고용 시장과 ISM PMI 서프라이즈

미국 경기는 식을 줄 모르고 달려갑니다. 뉴욕과 리치먼드 제조업 지수 하락에도 불구하고 ISM 제조업, 서비스업 PMI는 서프라이즈를 기록했습니다. 또한, 고용시장 또한 탄탄한 모습을 보여주는데요. 오늘은 최근 미국 경제 지표를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1. 미국 ISM PMI 먼저 살펴볼 지표는 ISM 제조업 PMI와 ISM 서비스업 PMI입니다. 앞서 뉴욕주 엠파이어스테이트 제조업 지수가 급락했었는데요. 이후 리치몬드 제조업 지수도 하락하였지만, S&P PMI가 서프라이즈로 나오면서 1월 ISM 제조업 PMI에 대한 시장의 궁금증은 커져갔습니다. 결과적으로 서프라이즈가 나오면서, 미국 경기가 침체에 빠질 가능성이 점차 옅어지는 모습입니다. 물론, 49.1 포인트로 기준치인 50을 하회하며 확장..

미국 4분기 GDP 성장률 서프라이즈, 골디락스 경제 시현

미국 4분기 GDP가 서프라이즈를 시현했습니다. 경기 침체가 올 것이라는 말이 무색하게, 연착륙을 넘어 골디락스 이상의 좋은 경제 상황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과연 미국만 잘 나가는 경제는 언제까지 가는 것인지 오늘은 최근 미국 경제 지표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끝이 없는 호황의 미국 경제 지난 목요일에는 미국 4분기 GDP 성장률 발표가 있었습니다. 결과는 전분기 대비 3.3% 성장하며 예상치인 2.0%를 한 참 넘어서는 서프라이즈를 시현했습니다. 미국 4분기 GDP 성장률(QoQ) : 전기 4.9%, 예상치 2.0%, 실제 3.3% 세부적으로는 개인소비지출이 2.8% 증가하였고, 인플레이션을 보여주는 근원 PCE 물가는 전분기에 이어 2.0%를 기록하였습니다. 물가는 잡히는데 경제는 성장하..

S&P PMI 서프라이즈, 리치몬드 제조업 지수 하락에도 반등

지난 수요일(24일, 현지시각)에는 미국 S&P 제조업 PMI가 발표되었습니다. 오늘은 최근 뉴욕 엠파이어 스테이트 제조업 지수와 리치모드 제조업 지수의 하락세에도 서프라이즈를 기록한 S&P PMI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리치몬드 제조업 지수 ▷ 지난 월요일에는 1월 리치몬드 제조업 지수(US Richmond Manufacturing Index)가 발표되었습니다. 결과는 기준치인 0을 밑돌았으며, -15로 전월 -11보다도 더욱 하락했습니다. 리치몬드 제조업 지수는 신규 주문, 선적, 고용 등을 종합하여 기업의 경영 환경을 파악하는 설문 조사입니다. 버지니아 주의 리치몬드 지역 내 100여개의 제조업을 대상으로 서베이를 진행합니다. ▷ 얼마전 1월 엠파이어 스테이트 제조업 지수도 -43.7을 기록하..

1월 엠파이어스테이트 제조업 지수 급락과 ISM PMI와의 상관관계 알아보기

1월 엠파이어스테이트 제조업 지수(Empire State Manufacturing Survey)가 -43.7로 전월 대비 -29 포인트가 급락하였습니다. 오늘은 엠파이어스테이트 제조업 지수에 대해 알아보고 어떤 의미가 있을지, ISM의 PMI 지수와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엠파이어스테이트 제조업 지수(Empire State Manufacturing Survey) ▷ 엠파이어스테이트 제조업 지수는 뉴욕주의 제조업 환경을 조사하는 설문으로 이번 조사는 1월 3일부터 1월 10일까지 진행되었습니다. 조사 결과, 1월 서베이는 전월 대비 -29 포인트가 급락한 -43.7을 나타냈습니다. 지수가 0 밑으로 하락했다는 의미는 뉴욕주의 제조업 환경이 향후에 좋지 않을 것이라는 기업 조사 결과인 것입니다...

연준의 BTFP(Bank Term Funding Program) 종료와 그 이유

최근 미국 연준(Fed) 부의장 마이클 바(Michael barr)는 한 컨퍼런스에서 BTFP(Bank Term Funding Program)이 오는 3월 11일에 종료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오늘은 BTFP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Bank Term Funding Program ▷ BTFP는 Bank Term Funding Program의 약자로, 은행 기간 대출 프로그램으로 불립니다. 작년 3월 실리콘밸리 은행(SVB)이 파산하게 되면서 뱅크런 사태로 인한 은행들의 유동성 위기를 모면하기 위해, 연준은 지역 은행에 긴급 대출을 제공했습니다. ※ 뱅크런이란, 은행이 부실해질 것으로 예상한 예금주들이 자신이 예치해 둔 돈을 인출하기 위해 은행으로 달려가는 모습을 빗대어 말한 것입니다. ▷ 실..

신임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 알베르토 무살렘 임명

지난 2일 세인트루이스 연은(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는 새로운 총재로 알베르토 무살렘(Alberto G. Musalem)을 지명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새로 임명된 알베르토 무살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알베르토 무살렘(Alberto G. Musalem) ▷ 알베르토 무살렘(Alberto G. Musalem, 55세)은 콜롬비아 보고타 출신으로 브라질과 아르헨티나에서 살다가 미국으로 이민을 왔습니다. 런던정경대(London School of Economics and Political Science) 경제학 학사, 석사를 마쳤고, 펜실베이니아 대학(University of Pennsylvania)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습니다. ▷ 경력 튜더 인베스트먼트..

G-spread, Z-spread, OAS, I-spread 뜻과 차이점

채권 크레딧을 볼 때는 기준이 되는 벤치마크 금리 대비 스프레드를 알아야 합니다. 이때 사용하는 스프레드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오늘은 G spread, Z spread, OAS, I spread 등 여러가지 스프레드의 뜻을 알아가며 차이점도 비교해 보겠습니다. 1. G-spread ▷ 가장 먼저, G-spread는 기본이 되는 스프레드입니다. 정부채(국고채) 금리 대비 크레딧 금리로 Nominal Spread라고도 합니다. 예를 들어 정부채가 6%, 크레딧 금리가 8%면 G-spread는 8% - 6% = 2%가 됩니다. G-spread = 크레딧 금리 - (동일한 만기의) 정부채 금리 2. Z-spread ▷ Z-spread는 G-spread에서 한 발짝 더 나간 개념입니다. 앞서 G-spr..

PIK(Payment In Kind) 뜻과 OID, ZCB과의 차이점 정리

이번 시간은 PIK Bond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더불어 OID의 뜻은 무엇인지, 그리고 제로쿠폰본드에 대해서도 하나씩 알아가 보겠습니다. 1. PIK Bond란? ▷ PIK Bond란, Payment In Kind Bond의 약어입니다. 회사가 채권을 발행할 때(회사채), 통상 분기별로 이자를 주게 되어있습니다. 그리고 만기에 다다르면 원금을 다시 상환하게 됩니다. PIK Bond는 이자를 원금에 쌓아놓는 채권입니다. ( a quartely noncash increase in principal ) 쌓아놓은 이자는 채권의 만기 때 원금과 함께 전부 받게 되는 것이죠. ▷ PIK Bond는 주로 후순위채권이나 비우량회사에서 발행하게 됩니다. 장기적으로 성장가능성이 높지만(strong earn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