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지난 화요일 미국 2월 소비자물가지수 발표가 있었습니다. 이번에도 어김없이 시장 컨센서스를 상회했네요. 1월 소비자물가지수도 예상치를 상회했었습니다. 유럽, 한국, 중국 모두 기를 못 펴는 상황에서 미국만 선전하는 가운데, 오늘은 미국 2월 CPI와 생산자물가지수(PPI) 등 이번주에 발표된 지표들을 살펴보겠습니다.
1. 미 2월 CPI
2월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는 연율 3.2%로 예상치인 3.1%를 넘어섰습니다. 전월대비로는 0.4% 상승하며 컨센서스와 일치하였네요. 금번 CPI 상승을 이끌었던 항목은 에너지가격입니다. 전월대비로 유가가 3.8% 상승하며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여줬네요. 작년부터 안정세를 나타내던 유가가 다시금 80불에 도달하였습니다. 유가상승은 인플레이션의 근본 원인이죠. 작년 3월 유가가 약 70불은 내외에서 움직였다는 것을 감안한다면 3월 CPI 역시 유가상승으로 인해 예상보다 높을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해 볼 수 있습니다.
식품과 에너지 물가를 제외한 근원 소비자물가도 전년대비 3.8% 상승을 기록하며 예상치 3.7%를 웃도는 결과를 보여줬습니다. 전월대비로도 0.4% 상승하면 컨센서스인 0.3%를 초과했네요. 근원 물가에서 상승폭이 컸던 항목을 본다면 주거비가 전월 대비 0.4% 증가하였습니다. 이 안에는 주택 렌트비와 OER(Owners' Equivalent Rent)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OER은 주택 자가보유자가 임대로 집을 내놓는다면 얼마에 내놓을 것인지를 수치화한 것입니다. 주택 렌트비와 OER 각각 전월 대비로는 0.5%, 0.4% 상승하며 주거비 전체가 0.4% 상승하는데 기여했습니다.
[ 미국 소비자물가지수 추이 ]
경제지표 | 12월(1월 발표) | 1월(2월 발표) | 2월(3월 발표) | |||
예상 | 실제 | 예상 | 실제 | 예상 | 실제 | |
CPI(YoY) | 3.2% | 3.4% | 2.9% | 3.1% | 3.1% | 3.2% |
Core CPI(YoY) | 3.8% | 3.9% | 3.7% | 3.9% | 3.7% | 3.8% |
2. 미 2월 PPI
이어 지난 목요일에는 미국 PPI, 생산자물가지수도 발표되었습니다. 생산자물가지수는 말 그대로 생산자인 기업 시각에서의 물가를 반영하는 것으로 생산자물가가 높다면 이후 소비자물가로 전가될 가능성이 높겠죠? 2월 미국 PPI는 전년대비 1.6% 상승하며 예상치인 1.1%를 훌쩍 뛰어넘는 결과를 나타냈습니다. 전월대비로도 0.6% 상승하며 컨센서스인 0.3%와 차이가 꽤 나네요. PPI 역시 에너지 가격이 상승을 주도했습니다. 에너지 가격이 전월대비 4.4% 상승하였고, 이외 음식료 가격도 1.0% 상승하며 물가가 하락하는 시점이 예상보다 지연되는 분위기입니다.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생산자물가지수도 전년대비 2.0% 상승하며 컨센서스인 1.9%를 넘어섰습니다. 전월대비로도 0.3% 상승하며 예상치인 0.2% 보다 높았네요.
[ 미국 생산자물가지수 추이]
경제지표 | 12월(1월 발표) | 1월(2월 발표) | 2월(3월 발표) | |||
예상 | 실제 | 예상 | 실제 | 예상 | 실제 | |
PPI(YoY) | 1.3% | 1.0% | 0.6% | 0.9% | 1.1% | 1.6% |
Core PPI(YoY) | 1.9% | 1.8% | 1.6% | 2.0% | 1.9% | 2.0% |
3. 미국 국채 금리 변화
미국 금리는 소비자물가가 발표되었던 화요일 당일 약 5bp 가량이 상승했습니다. 시장이 기대했던 물가압력 완화 속도가 지연되면서 미국 연준(Fed)의 기준 금리 인하 시기 역시 늦춰질 것이라는 인식 때문이었죠. 게다가 생산자물가지수까지 서프라이즈로 나오면서 목요일 미국 금리는 약 10bp 가량 상승하며 마감했습니다. 요즘 들어 재밌는 상황은 지표발표 전까지 시장 금리가 꾸준히 하락하다, 지표가 서프라이즈 발표되며 금리가 반등하는 모양새입니다. 미국 금리 커브를 보면 한달전과 거의 변화가 없는 것을 볼 수 있네요. 시장 기대감은 여전한 상황에서 한 달, 한 달 지연되는 국면입니다. 결국 금리가 이 정도 금리 레벨에서 더 상승하기 위해선 현재 물가 및 성장률을 뛰어넘는 수치가 나와야 할 것 같습니다. 그렇지 않다면 다시금 금리는 하락하는 패턴이 다시 나오지 않을까요?
♧ 함께 보면 좋은 글 ♧
미국 1월 소비자물가 발표 서프라이즈, 시장 반응 정리
또 또... 미국이 서프라이즈를 일으켰습니다. 1월 CPI 발표치가 예상을 뒤엎고 상승하였는데요. 이제는 경기 침체 가능성이 제거된다를 넘어 노랜딩(No landing) 이야기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전일
paecostory.tistory.com
3월 ECB 결과 및 향후 전망
지난 3월 7일에는 2월 ECB 통화정책회의가 열렸습니다. 정책금리는 어김없이 동결하였죠. 이번에는 새롭게 향후 경제 전망이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오늘은 3월 ECB 결과와 향후 전망을 살펴보도록
paecostory.tistory.com
'금융, 경제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1월 소비자물가 발표 서프라이즈, 시장 반응 정리 (0) | 2024.02.15 |
---|---|
멈출 줄 모르는 미국 고용 시장과 ISM PMI 서프라이즈 (0) | 2024.02.07 |
미국 4분기 GDP 성장률 서프라이즈, 골디락스 경제 시현 (0) | 2024.01.29 |
S&P PMI 서프라이즈, 리치몬드 제조업 지수 하락에도 반등 (0) | 2024.01.28 |
1월 엠파이어스테이트 제조업 지수 급락과 ISM PMI와의 상관관계 알아보기 (0) | 2024.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