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빠의 금융이야기

전체 글 40

두산에너빌리티 주가와 수주실적 분석

국내 대표적인 원전 개발 사업자 두산에너빌리티(구. 두산중공업). 자회사로는 건설장비 두산밥캣과 수소연료전지 두산퓨얼셀이 있는데요. 오늘은 두산에너빌리티의 최근 수주실적과 주가 추이에 대해 분석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두산에너빌리티 개요 ▷ 1962년에 두산에너빌리티의 최초 사명은 현대양행이었습니다. 1980년 신군부가 집권하며 중화학공업 투자 조정의 일환으로 공기업으로 편입되었습니다. 이후 2001년 다시금 두산 그룹에 인수되며 민영화 되었고, 상호도 두산중공업으로 변경되었습니다. 2022년에는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두산에너빌리티로 사명이 변경되었습니다. ▷ 주요 사업으로는 원자력, 화력 등 발전설비와 플랜트, 연료전지와 같은 신재생 관련 기자재를 제작하는 에너빌리티 부문이 있고, 자회사로 소형 건..

기업, 주식 2023.12.31

PIK(Payment In Kind) 뜻과 OID, ZCB과의 차이점 정리

이번 시간은 PIK Bond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더불어 OID의 뜻은 무엇인지, 그리고 제로쿠폰본드에 대해서도 하나씩 알아가 보겠습니다. 1. PIK Bond란? ▷ PIK Bond란, Payment In Kind Bond의 약어입니다. 회사가 채권을 발행할 때(회사채), 통상 분기별로 이자를 주게 되어있습니다. 그리고 만기에 다다르면 원금을 다시 상환하게 됩니다. PIK Bond는 이자를 원금에 쌓아놓는 채권입니다. ( a quartely noncash increase in principal ) 쌓아놓은 이자는 채권의 만기 때 원금과 함께 전부 받게 되는 것이죠. ▷ PIK Bond는 주로 후순위채권이나 비우량회사에서 발행하게 됩니다. 장기적으로 성장가능성이 높지만(strong earnin..

미국 PCE 물가지수의 개념과 CPI와 차이 비교

미국 연준이 금리 결정을 할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지표는 물가와 실업률입니다. 물가 지표 중에서도 근원 PCE 물가 지수를 핵심 지표로 바라보고 있는데요. 오늘은 미 연준의 핵심 지표인 근원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 즉 Core PCEPI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오늘의 주제 : 근원 PCE 물가지수 개념과 CPI와 비교하기 1.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의 개념 ▷ 개인소비지출(PCE)은 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의 약어입니다. 개인소비지출이라고 하면, 한 나라의 가계와 민간이 재화와 서비스를 구매하는데 지출한 모든 금액을 합친 것입니다. 즉, 저축 말고 우리가 쓴 돈의 합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 PCEPI는 PCE에 Price Index를 붙인 것으로, ..

태영건설 워크아웃설, 실적과 PF보증 잔액 확인하기

한국 부동산 시장에 찬바람이 부는 요즘, 지방 중소규모 건설사 부도 소식이 연이어 나오고 있습니다. 그런 가운데 시공능력평가 16위의 중대형 건설사인 태영건설도 위기에 봉착했는데요. 오늘은 태영건설의 위기와 향후 전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태영건설의 기업 개요 ▷ 태영건설은 1973년에 설립된 태영그룹 계열의 종합건설사입니다. 국내 시공능력평가 16위의 중대형 건설사죠. ※ 시공능력평가란 매년 종합건설사들의 공사실적과 경영능력, 기술능력, 대외신인도를 바탕으로 점수를 매겨 산출한 것입니다. 2023년 기준 시공능력평가순위는 1위가 삼성물산, 2위가 현대건설, 3위가 대우건설, 4위가 현대엔지니어링, 5위가 GS건설 순입니다. ▷ 한편, 태열건설의 계열사로는 유명한 방송국 SBS가 있고, 수..

기업, 주식 2023.12.26

CGV 주가는 언제쯤 다시 회복될 수 있을까? 영화관의 위기와 전망

CGV는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모두가 알만한 1등 영화관입니다. 오늘은 코로나 이후 위기를 겪고 있는 CGV의 실적과 유상증자 그리고 모회사 CJ 지주의 지원 상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CGV 현재 상황과 실적 ▷ CJ CGV는 국내 199개의 영화관을 보유하고 있는 대한민국 1등 영화관입니다. 뿐만 아니라, 전 세계 7개국, 4,000여 개 이상의 스크린을 보유한 글로벌 기업이기도 하죠. 2022년 기준 국내 스크린 점유율은 43%로 2위인 롯데시네마(31%)와 큰 격차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4DX와 골드클래스, IMAX 등 특별관 퀄리티를 비교한다면 압도적인 1위 영화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대한민국 1등 영화관 CGV는 사실 오랫동안 위기를 겪고 있습니다. 바로 코로나로 인한 직격..

기업, 주식 2023.12.24

이마트24 유상증자 결정, 신세계그룹 이마트의 지원은 계속된다

지난 12월 14일에는 이마트24의 유상증자 발표가 있었습니다. 이마트24는 우리에게 친숙한 편의점이죠. 오늘은 이마트24의 유상증자 이유와 모회사인 신세계그룹의 이마트 전폭적인 지원까지, 그 내용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이마트24의 유상증자 결정 ▷ 이마트24는 2006년 3월에 위드미로 설립되어 2013년에 신세계그룹으로 편입된 편의점 사업자입니다. 모회사는 이마트로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 이마트24의 유상증자 결정 내용 ▷ 이마트24가 발표한 유상증자 내용을 살펴보면, 총 1,000억원 규모로 주주배정증자를 한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주주가 이마트밖에 없는 단일주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LG디스플레이 증자 때 처럼 구주주 배정, 일반공모를 할 필요가 없는 것이죠. 이것을 주주배정..

기업, 주식 2023.12.22

LG디스플레이 유상증자 결정, 위기 극복할 수 있을까?

지난 12월 18일 LG디스플레이는 공시를 통해 1.4조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결정하였습니다. 오늘은 위기를 겪고 있는 LG디스플레이 현황과 유상증자 내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LG디스플레의 유상증자 내용 ▷ 금번 LG디스플레이 유상증자 규모는 총 1조 3,579억원 입니다. 자금 사용목적은 시설자금으로 4,159억원, 운영자금으로 5,483억원, 채무상환자금으로 3,936억원이 사용될 예정입니다. ▷ 신주의 발행가액은 1주당 9,550원이고, 최대주주인 LG전자가 총 출자액 1조 3,579억원 중 4,941억원을 출자할 예정입니다. 그렇게 되면 지분율은 기존 37.9% 에서 37.47%로 소폭 하락할 것으로 보입니다. ▷ 신주의 배정방법은 먼저 자본시장법에 따라 우리사주조합에 발행량의 20%를 우..

기업, 주식 2023.12.20

Fed Watch와 금리인하, 각국 중앙은행 총재 발언 정리

최근 금리가 하락하는 가운데,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와 오스틴 굴스비 시카고 연은 총재의 금리 관련 발언을 살펴보고, 경제 지표들은 어떻게 발표되고 있는지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1. 금리 인하기대를 듬뿍 반영한 채권시장 ▷ 현재 FED Watch를 살펴보면 '2024년 3월에는 미국 FED가 기준금리를 1회 인하할 것이다'라는 시장의 컨센서스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3월 연준 기준금리가 5.00 ~ 5.25%로 1회 인하할 것이라는 전망이 62.7%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 전망치는 현재 채권금리를 통해 역으로 계산한 것으로 시장 금리 변화에 따라 실시간으로 확률이 변할 수 있습니다. ▷ 2024년 5월 기준으로 보면 1회를 넘어 2회 금리인하 전망이 52.1%나 차지하고 있네요. ▷ 지난..

채권, 금리 2023.12.19

기획재정부, 개인투자자용 국채 출시와 30년 국채선물 시장 등 선진화 내용

지난 12월 11일에는 제10회 KTB(Korea Treasury Bond) 컨퍼런스가 있었습니다. 국내 국채와 관련한 컨퍼런스로 행사에 추경호 부총리가 참석하여 국채시장 선진화를 위한 다양한 제도 도입에 대해 이야기를 하였습니다. 오늘은 이와 관련된 내용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 새롭게 도입, 검토되는 것들 (1) 개인투자용 국채 출시 ▷ 현재 일반적으로 개인들은 우리나라에서 발행하는 국채에 투자를 하려면 1. 국고채를 편입/운용하는 펀드를 가입하거나, 2. 국고채 가격을 추종하는 ETF를 매수, 혹은 3. 증권사 HTS를 통해서 장내 국채를 매수하면 됩니다. ▷ 여기서 국고채는 공개시장을 통해 매달 발행하게 되는데, 개인투자자가 이 공개시장을 통해 발행하는 국고채를 매입하기 위해선 국고채전문딜러로 ..

채권, 금리 2023.12.18

12월 ECB, BoE 금리 결정 내용과 경제 전망 변화, 채권시장 반응 정리

지난 12월 14일에는 ECB(European Central Bank)와 BoE(Bank of England)의 금리결정이 있었습니다. 오늘은 ECB, BoE 금리결정 내용과 전망치가 변화된 부분, 그리고 채권시장 반응을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ECB, BoE 금리결정 내용 ▷ ECB와 BoE는 12월 통화정책 회의에서 각 4.5%와 5.25%로 기준금리를 동결하였습니다. ECB는 2회 연속 동결. BoE는 3회 연속 동결입니다. 단, BoE에서는 9명의 위원 중 6명이 금리 동결, 3명이 금리 인상 의견을 주장하였습니다. ▷ ECB의 예금금리(Deposit Facility Rate)는 4.0%, 한계대출금리(Marginal Lending Facility Rate)는 4.75%로 두 금리 역시 동결..

채권, 금리 2023.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