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GV는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모두가 알만한 1등 영화관입니다. 오늘은 코로나 이후 위기를 겪고 있는 CGV의 실적과 유상증자 그리고 모회사 CJ 지주의 지원 상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CGV 현재 상황과 실적
▷ CJ CGV는 국내 199개의 영화관을 보유하고 있는 대한민국 1등 영화관입니다. 뿐만 아니라, 전 세계 7개국, 4,000여 개 이상의 스크린을 보유한 글로벌 기업이기도 하죠. 2022년 기준 국내 스크린 점유율은 43%로 2위인 롯데시네마(31%)와 큰 격차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4DX와 골드클래스, IMAX 등 특별관 퀄리티를 비교한다면 압도적인 1위 영화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대한민국 1등 영화관 CGV는 사실 오랫동안 위기를 겪고 있습니다. 바로 코로나로 인한 직격탄을 맞았기 때문입니다. 잠시 CGV의 매출과 영업이익 추이를 살펴보겠습니다.
▶ CJ CGV 매출과 영업이익 추이
연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3.9월 누적 |
매출 | 1조 9,423억 | 5,834억 | 7,363억 | 1조 2,813억 | 1조 2,028억 |
영업손익 | +1,220억 | -3,887억 | -2,414억 | -768억 | +322억 |
▷ 2019년까지만 해도 잘 나가던 실적이 2020년 코로나 확산에 따라 엄청난 적자로 돌아서게 됩니다. 영업손익은 말 그대로 영업활동에서 손익이 얼마나 발생했냐를 말하는 것이지, 대출 이자와 각종 비용을 더한 당기순손익은 훨씬 더 마이너스를 기록하게 됩니다.
▶ 2020년 당기순손익 -7,516억 적자, 2021년 -3,388억 적자
▷ 2023년 들어서 소폭의 영업흑자전환을 이뤄내게 됩니다. 정말 눈물나는 결과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CGV는 손실을 보던 기간 동안 수많은 대출을 받으며 금융비용이 많이 증가하게 되었습니다. 그로 인해 여러 가지 기타 비용을 고려한 누적 순손익은 2023년 3분기까지 -820억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영업활동으로 이자도 못 내는 상황이라는 것이죠.
2. 구세주 CJ 지주의 지원
▷ 대기업 걱정은 하는 게 아닌 것일까요? 역시나 CGV의 뒤에는 거대한 군함 CJ 지주가 버텨주고 있었습니다. CJ 지주는 CGV가 코로나로 경영난에 헤매고 있는 동안, 2020년 유상증자로 828억원을 지원하는 것을 시작으로 같은 해 12월에는 신종자본증권 2,000억 원, 2022년 유상증자 1,500원 등 막대한 지원을 하게 됩니다.
▷ 그럼에도 천문학적인 적자로 인해 이 정도 지원으로는 어림도 없었습니다. 그러니 2021년에는 CJ올리브네트웍스의 광고부문을 합병시켜 버립니다. CJ올리브네트웍스는 CJ 그룹의 3세 경영승계의 핵심회사로 관련 내용은 링크를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이뿐만이 아니죠. 2023년 최근에도 CJ의 지원은 멈추지 않습니다. 2023년 9월 CGV는 또 유상증자를 감행하게 됩니다. 총 4,153억 규모로 유상증자를 단행하였고, 여기서 CJ 지주는 1,000억원을 다시 한번 출자하게 됩니다.
CJ CGV/주요사항보고서(유상증자결정)/2023.09.04
잠시만 기다려주세요.
dart.fss.or.kr
▷ 그리고 이어서 CJ올리브네트웍스의 남은 IT 부문까지 현물출자를 하기로 결정합니다. 현물출자는 실제 현금이 들어가는 것은 아니고 회계상 자본을 늘려주는 역할입니다. CGV가 투자자들에게 실적을 공개할 때 재무건전성이 양호하다라고 말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죠. 물론, 현금을 들고 출자한다면 조금은 늘겠지만요.
▷ 하지만 이마저도 녹록지 않습니다. 법원에서 CJ 지주가 현물출자하려는 CJ올리브네트웍스의 가치가 너무 높게 측정되었다며, 불인가하였기 때문입니다. 추후 CJ는 다시 검토하여 항고 또는 재신청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
3. 향후 전망은?
▷ 그렇다면 CGV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요? 문제는 영화관을 찾는 관람객이 예전만치 못하다는 것입니다. 영화관 관람객 수 추이를 살펴보겠습니다.
▶ 국내 영화관 관람객 수 추이
연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3.9월 누적 |
영화 관람객 수 | 2억 2,700만 명 | 6,000만 명 | 6,100만 명 | 1억 1,300만 명 | 9,100만 명 |
▷ 코로나 이후에 영화 관람객 수가 회복되는 것을 볼 수 있지만, 여전히 코로나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해 보았을 때 한참 못 미칩니다. 넷플릭스, 디즈니+, 티빙, 쿠팡 플레이 등 OTT가 대세인 요즘, 영화 티켓값이 비싸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어 그 미래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심지어 OTT 마저도 과도한 경쟁으로 합병을 하고 있죠.
티빙-웨이브 합병 발표, 국내 OTT 시장 전망과 관련 주식은?
국내 OTT 시장의 지각변동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티빙과 웨이브 합병 MOU 체결, 그리고 OTT 시장의 전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티빙, 웨이브와 합병 MOU 체결 발표 ▷ 2023년 12월 5일, 티빙과 웨이
paecostory.tistory.com
▷ 역시나 CGV의 주가는 역사상 최저점을 찍고 있습니다. 과연 어떤 방식으로 이 위기를 극복해 낼 수 있을지, 만일 극복한다면 CGV 주가는 현재가 저점이 아닐지 생각해 봅니다.
♧ 다른 유익한 글 보러 가기 ♧
이마트24 유상증자 결정, 신세계그룹 이마트의 지원은 계속된다
지난 12월 14일에는 이마트24의 유상증자 발표가 있었습니다. 이마트24는 우리에게 친숙한 편의점이죠. 오늘은 이마트24의 유상증자 이유와 모회사인 신세계그룹의 이마트 전폭적인 지원까지, 그
paecostory.tistory.com
기획재정부, 개인투자자용 국채 출시와 30년 국채선물 시장 등 선진화 내용
지난 12월 11일에는 제10회 KTB(Korea Treasury Bond) 컨퍼런스가 있었습니다. 국내 국채와 관련한 컨퍼런스로 행사에 추경호 부총리가 참석하여 국채시장 선진화를 위한 다양한 제도 도입에 대해 이야
paecostory.tistory.com
'기업,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산에너빌리티 주가와 수주실적 분석 (2) | 2023.12.31 |
---|---|
태영건설 워크아웃설, 실적과 PF보증 잔액 확인하기 (2) | 2023.12.26 |
이마트24 유상증자 결정, 신세계그룹 이마트의 지원은 계속된다 (2) | 2023.12.22 |
LG디스플레이 유상증자 결정, 위기 극복할 수 있을까? (4) | 2023.12.20 |
LIG넥스원의 수주잔고 증가와 미국 로봇업체 GRC 인수 발표 등 동향 (0) | 2023.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