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국내 OTT 시장의 지각변동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티빙과 웨이브 합병 MOU 체결, 그리고 OTT 시장의 전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티빙, 웨이브와 합병 MOU 체결 발표
▷ 2023년 12월 5일, 티빙과 웨이브는 합병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발표했습니다.
- 티빙은 CJ계열의 OTT(Over The Top)고, 웨이브는 SK계열의 OTT입니다.
▶ 티빙, 웨이브 합병 MOU 체결 기사
티빙-웨이브, 합병 위한 MOU 체결…최대 ‘토종’ OTT 등극하나 - 시사저널
CJ그룹과 SK그룹이 각각의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인 티빙과 웨이브의 합병을 위한 첫 계약을 체결했다.5일 CJ ENM의 티빙과 SK스퀘어의 웨이브는 합병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www.sisajournal.com
2. 국내 OTT 시장 개요
▷ OTT는 온라인 스트리밍 동영상 플랫폼으로 각종 미디어 콘텐츠를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시청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 국내 OTT 시장의 주요 사업자는 넷플릭스, 티빙, 웨이브, 쿠팡플레이, 디즈니+ 등이 있습니다.
▷ 지난 8월 기준, 국내 OTT 사용자 수는 넷플릭스가 1,223만 명으로 1위 → 쿠팡플레이 2위(563만 명) → 티빙 3위(540만 명) → 웨이브 4위(439만 명) → 디즈니+ 5위(270만 명)의 순서를 보이고 있습니다.
▶ 국내 OTT 시장 관련 자료
[마클차트] 오리지널 콘텐츠 효과가 가장 좋았던 OTT는 무엇일까?
절대 놓치지 말아야 하는 인사이트뉴스레터로 만나보세요.뉴스레터 구독하기뒤로가기 마클차트OTT앱순위마케팅클라우드모바일인덱스[마클차트] 오리지널 콘텐츠 효과가 가장 좋았던 OTT는 무
mktcloud.igaworks.com
3. 티빙과 웨이브의 합병 이유
(1) 재무제표, 적자 문제
▷ 사업에서 가장 중요한 건 역시 실적입니다. 이익이 나지 않는 기업을 오래 생존할 수 없습니다.
▷ 사실 전세계를 놓고 봐도 넷플릭스를 제외하고는 OTT 플랫폼 중 흑자를 기록하는 곳은 없습니다.
- 티빙의 당기순손실 추이 : 2021년 600억 → 2022년 1,250억 → 2023년 3분기 누적 1,180억
- 웨이브의 당기순손실 추이 : 2021년 660억 → 2022년 1,350억 → 2023년 3분기 누적 830억
▷ 넷플릭스, 디즈니+ 등 글로벌 OTT와의 치열한 경쟁 속에 수익성 가시화가 어렵다는 평가가 만연해지는 가운데, 생존을 위한 양사의 합병은 절실할 것으로 보입니다.
▷ 이미 시장에서는 왓챠(Watcha)와 같이 자본잠식을 이겨내지 못하고 매각을 추진하는 곳도 발생하기 시작하였습니다.
▶ 왓챠(Watcha) 관련 기사
한때 넷플릭스 대항마로 기대 받았던 왓챠, 박태훈 창업 12년 만에 최대 시련
박태훈 왓챠 대표이사가 왓챠를 만든지 12년 만에 최대의 시련을 겪고 있다.LG유플러스가 왓챠 인수 의사를 철회하면서 왓챠를 살리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찾아내야 하는 과제를 안..
www.businesspost.co.kr
(2) OTT 시장 지배력 확대
▷ 2022년에도 티빙은 KT 계열의 OTT인 시즌을 흡수합병한 전적이 있습니다. 당시 시즌은 월 160만 명 정도 월간 이용자 수가 있는 6위 업체였고, 양사의 합병을 통해 2~3위 권으로 도약할 수 있었습니다.
▷ 또한, KT는 스튜디오지니를 필두로 미디어 콘텐츠 투자를 이어나가고 있고, KT 요금제와 연계한 상품 판매까지 고려한다면 긍정적 요소가 많았습니다.
▶ 티빙, 회사합병 결정
티빙/회사합병결정/2022.07.19
☞ 본 공시사항은 [공정거래위원회] 소관사항입니다.
dart.fss.or.kr
▷ 금번 티빙과 웨이브를 합병도 비슷한 이유일 것입니다.
▷ 티빙은 국내 미디어 대표 회사인 CJ ENM 필두로 스튜디오드래곤, SLL 중앙과 같이 국내 대규모 콘텐츠 제작사를 대주주로 두고 있는 업체입니다.
▷ 게다가 국내 최대 인터넷 기업 네이버도 대주주로 있습니다. (그래서 네이버플러스를 가입하면 티빙을 무료로 볼 수 있게 해주는 것입니다.)
▶ 티빙, 주요주주 내역
▷ 웨이브는 과거 SK텔레콤의 옥수수(oksusu)와 지상파 방송3사의 푹(POOQ)이 합병한 플랫폼으로 주요주주로 SK스퀘어, KBS, SBS, MBC를 두고있는 업체입니다.
▷ 두 회사가 합쳐지면 그야말로 국내 미디어 관련 업체 모두가 주주로 참여하는 공룡 OTT가 되는 것입니다.
▶ 웨이브, 주요주주 내역
4. 합병에 영향 받는 주식은?
▷ 티빙, 웨이브 합병시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것은 역시 최대주주인 CJ ENM과 SK스퀘어입니다.
▷ CJ ENM은 그동안 적자로 인해 어려움을 겪다 최근 3분기 실적 서프라이즈로 살짝 반등한 모습입니다.
▷ 다만 OTT 경쟁이 조금 완화되면서 콘텐츠제작사는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감소하며 오히려 매출에 있어 부정적인 면도 있을 수 있습니다. 대신 대게 주주로 참여하고 있어 콘텐츠 비용 협상은 원만히 이뤄질 것으로 보입니다.
- 관련 콘텐츠제작사는 콘텐트리중앙(SLL중앙 모회사), KT스튜디오지니, 스튜디오드래곤이 있습니다.
▶ CJ ENM 주가 추이
▶ CJ ENM 주가 추이
▶ 콘텐트리중앙 주가 추이
▶ 스튜디오드래곤 주가 추이
♤ 잘못된 내용과 피드백은 따뜻한 마음으로 댓글 남겨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 구독을 하시면 더 많은 이야기와 정보를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기업,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마트24 유상증자 결정, 신세계그룹 이마트의 지원은 계속된다 (2) | 2023.12.22 |
---|---|
LG디스플레이 유상증자 결정, 위기 극복할 수 있을까? (4) | 2023.12.20 |
LIG넥스원의 수주잔고 증가와 미국 로봇업체 GRC 인수 발표 등 동향 (0) | 2023.12.13 |
SK스퀘어, SK네트웍스의 지분 동향(SK쉴더스, 11번가, SK렌터카) (2) | 2023.12.05 |
CJ그룹 3세(이경후, 이선호) 경영승계를 위한 지분 변화의 역사 (2) | 2023.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