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미국 고용 지표 발표, 향후 금리 전망은 어떻게 될까

채권, 금리

12월 미국 고용 지표 발표, 향후 금리 전망은 어떻게 될까

빠빠금융 2024. 1. 6. 10:07

 

작년 11월부터 하락하던 금리가 최근 재차 반등하기 시작했습니다. 최근 발표된 미국 12월 고용지표를 살펴보고 금리가 반등하는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미국 금리 추이

 ▷ 먼저, 최근 미국 10년물 금리 추이를 살펴보겠습니다. 작년 10월 5%까지 상승하였던 금리는 11월부터 금리인하 기대감이 확산되며 하락하기 시작했습니다.  12월 27일 3.79%까지 내려왔으니 약 1%p 이상 급락한 걸을 볼 수 있네요. 하지만, 하락세던 금리가 최근 반등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약 일주일 만에 다시 20bp 이상 상승하였습니다.

미국 10년물 금리 : 10/19일 4.99% → 12/27일 3.79% → 1/5일 4.05%

 

 

 ▶ 미국 10년 금리 추이

미국 금리

 

2. 미국 고용 지표 발표

(1) Initial Jobless Claim

 ▷ Initial Jobless Claim은 전주의 신규 실업수당을 신청자를 집계하는 것으로 매주 발표하며 현재 미국 고용시장의 분위기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실업수당을 청구하는 사람이 적을수록 좋겠죠? 이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이번주에는 전망치 대비 좋게 나왔고, 전주 대비로도 회복되었습니다.

주간 신규 실업수당 : 전망치 21.6만 명 → 실제 20.2만 명 (전주 22.0만 명)

 

(2) ADP 민간 고용

 ▷ ADP 민간 고용(ADP Nonfarm Employment Change)도 미국의 고용시장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는 지표입니다. ADP는 Automatic Data Processing라는 곳에서 스탠퍼드 디지털 경제 연구소와 함께 2,500만여 명의 급여 데이터를 바탕으로 발표하는 고용 지표입니다. 정부에서도 고용보고서를 매달 발행하는데, ADP는 약 이틀 전에 고용지표를 발표하며 가장 중요한 미국 정부 고용보고서의 흐름을 대략적으로 예측해 볼 수 있는 의미가 있습니다.

 

 ▷ 이 12월 ADP 민간 고용 역시 전망치와 전월 대비 개선되며 금리 상승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미국 ADP 민간 고용 : 전망치 12.5만 명 → 실제 16.4만 명 (전월 10.1만 명)

(3) 미국 Nonfarm Payrolls

 ▷ 미국 노동부는 매월 고용보고서를 발간하는데, 여기서도 가장 중요한 수치 중 하나가 바로 Nonfarm Payrolls입니다. 한글로하면 비농업 신규 취업자수라고 할 수 있겠네요. Nonfarm이라는 것은 농업, 비영리 조직, 군인들은 제외한 종사자를 집계한 것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12월 비농업 신규 취업자수도 21.6만 명을 기록하며 전망치와 전월치 대비 상승하는 모습입니다.

미국 비농업 신규 취업자수 : 전망치 17.0만 명 → 실제 21.6만 명 (전월 17.3만 명)

 

3. 마무리, 금리 전망

 ▷ 가장 중요했던 비농업 취업자수가 컨센서스 대비 서프라이즈를 보여주긴 했는데, 11월 발표치가 19.9만 명에서 17.3만 명으로, 10월 발표치가 15.0만 명에서 10.5만 명으로 하락 수정된 점은 다소 부정적입니다. 또한, 섹터별 세부 취업자 수에 따라서 해석은 달라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최근 기준금리 이하로 급락했던 시장 금리 추이를 보았을 때 단기간 내 금리가 재차 반등할 가능성은 남아있을 것 같습니다. 물론 그 폭이 크지는 않겠지만요.

 

♧ 함께 보면 좋은 글 ♧

 

 

기준금리 밑으로 떨어진 채권 금리, 그 이유

오늘은 최근 국내 및 글로벌 금리 동향과 금리가 떨어지는 이유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최근 금리 상황 ▷ 미국, 유럽, 한국 등 글로벌 금리는 최근 한 달간 일제히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paecostory.tistory.com

 

 

Fed Watch와 금리인하, 각국 중앙은행 총재 발언 정리

최근 금리가 하락하는 가운데,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와 오스틴 굴스비 시카고 연은 총재의 금리 관련 발언을 살펴보고, 경제 지표들은 어떻게 발표되고 있는지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보겠

paecostory.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