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월 11일 한국은행은 금융통화위원회의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를 열어 기준금리를 3.5% 만장일치로 동결하였습니다. 오늘은 1월 금통위 결과와 통화정책방향문을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금융통회위원회,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 결과
▷ 이번 금융통화위원회에서는 기준금리를 3.5%로 만장일치 동결하였습니다. 8회 연속 기준금리 동결 결정입니다.
2. 통화결정 방향문 주요 내용
(1) 금리 동결 이유
▷ 금번 금통위에서 기준 금리를 동결하게 된 이유는 물가상승률이 둔화 흐름세지만 여전히 높고, 대내외 여건의 불확실성이 높아 긴축 기조를 이어나가는 것이 맞다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2) 세계경제 동향
▷ 세계경제는 주요 은행의 통화긴축으로 성장과 인플레이션이 둔화되는 흐름세입니다. 다만, 한국은행의 금리 결정 배경과 마찬가지로, 여전히 인플레이션이 높은 수준이고 안정화까지는 상당한 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3) 국내경제 동향
▷ 국내경제는 수출이 완만히 회복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12월 수출은 전년대비 +5.1% 증가하며 3개월 연속 증가세입니다. 수출 실적 자체도 '22.7월 이후 17개월 만에 최대치를 달성하였습니다. 다만, 고금리 영향으로 소비와 건설투자의 회복은 더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 2024년 GDP 성장률은 11월에 전망한 것과 동일하게 2.1%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4) 향후 주요 모니터링 사항
▷ 한국은행은 여전히 국내외 물가상승률이 높은 수준이고 대내외 여건의 불확실성도 높은 상황임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향후에는 국제 유가와 인플레이션 추이, 주요국의 통화정책 방향, 전쟁과 같은 지정학적 리스크 등을 고려할 것으로 밝혔습니다.
▷ 또한, 성장과 금융 안정을 동시에 고려하며, 가계부채 증가 추이도 함께 점검해 나갈 것으로 밝혔습니다.
3. 국내 주식, 채권 시장 반응
▷ 1월 금통위에서 과거와 달라진 점은 통화결정 방향문에서 금리 추가 인상에 대한 문구가 삭제되었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금통위원 모두 추가 인상 필요성을 낮췄다는 것은 비둘기파적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1월 금통위에서는 4명의 금통위원이 금리 인상 가능성을 열어두었으나, 이번 회의에서는 0명으로 감소했습니다.
▷ 다만, 한국은행은 섣부른 기준금리 인하로 인해 부동산 가격 상승 기대를 자극하는 것을 우려하며 금리인하 논의에 대해서는 시기상조라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향후 6개월 이상 금리 동결 기조를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은 단기 금리 시장에 부담 요소로 볼 수 있겠습니다.
▷ 국내 주식 시장은 보합세를 나타냈습니다. 2,540.27로 마감하며 전일대비 -0.07% 하락하였습니다. 한편 채권 금리는 비둘기파적으로 해석된 금통위 결과에 따라 하락하는 모양새입니다. 국고채 3년 금리는 전일대비 4.2bp 하락한 3.227%, 10년물은 3.9bp 하락한 3.307%로 마감하였습니다.
4. 향후 전망
▷ 그동안 크게 하락하던 금리는 연초 들어 반등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기준금리 인하 시점에 대한 논쟁이 활발한 가운데, 채권 금리가 과연 과도하게 하락한 것인지 향후 물가상승률이 핵심 지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오늘 밤 발표되는 미국 CPI를 다음 시간에 같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
2023년 11월 금융통화위원회 결과 및 시장금리 반응, 향후 전망
오늘은 2023년 11월 30일 금융통화위원회 금리결정 결과와 채권 시장금리 반응, 향후 전망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금리결정 ▷ 금번 금융통화위원회에서는 기준금리를 3.5%로 만장일치 동결하
paecostory.tistory.com
12월 미국 고용 지표 발표, 향후 금리 전망은 어떻게 될까
작년 11월부터 하락하던 금리가 최근 재차 반등하기 시작했습니다. 최근 발표된 미국 12월 고용지표를 살펴보고 금리가 반등하는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미국 금리 추이 ▷ 먼
paecostory.tistory.com
'채권, 금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월 FOMC 결과, 기준금리 만장일치 동결 (0) | 2024.02.05 |
---|---|
1월 ECB 통화정책회의 결과와 시장 반응 (0) | 2024.01.27 |
12월 미국 고용 지표 발표, 향후 금리 전망은 어떻게 될까 (2) | 2024.01.06 |
Fed Watch와 금리인하, 각국 중앙은행 총재 발언 정리 (2) | 2023.12.19 |
기획재정부, 개인투자자용 국채 출시와 30년 국채선물 시장 등 선진화 내용 (0) | 2023.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