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지난 12월 12~13일에는 미국 FOMC(Federal Open Market Committee)가 열렸습니다. 오늘은 FOMC 결과와 문구 및 점도표 변화, 채권시장 반응 등을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1. FOMC 결과
▷ 이번 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 연방기금 목표금리는 5.25~5.50%로 만장일치 동결되었습니다. 이는 9월부터 3회 연속 목표금리 동결입니다.
the Committee decided to maintain the target range for the federal funds rate at 5-1/4 to 5-1/2 percent.
▷ 성명서 문구를 살펴보면, 경제 활동 성장세가 강한 속도에서 둔화되었다고 말했고, 인플레이션은 여전히 상승 중이지만 완화되었습니다.
... growth of economic activitiy has slowed from its strong pace ...
... Inflation has eased over the past year but remains elevated.
▷ 취업건수는 여전히 강하며 실업률도 여전히 낮다고 평가했습니다.
... job gains have moderated ... but remain strong
and the unemployment rate has remained low.
▶ FOMC 결과와 성명서 보는 곳
Meeting calendars and information
The Federal Reserve Board of Governors in Washington DC.
www.federalreserve.gov
2. 변화된 주요 지표들
▷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경제전망(SEP, Summary of Economic Projections)에서 경기 전망에 대한 변화가 있었습니다.
- 성장률은 올해 2.1% → 2.6%로 상향되었지만, 2024년 1.5% → 1.4%로 하향, 2025년과 2026년은 각 1.8%, 1.9%로 제시했고,
- 물가도 핵심 PCE를 봤을 때, 2023년이 3.7% → 3.2%로 하향, 2024년 2.6% → 2.4%, 2025년 2.3% → 2.2%, 2026년 2.0%로 물가 경로가 전반적으로 9월 FOMC 대비 하향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이어 연방기금 목표금리(federal funds rate) 전망도 하락하였습니다. 중간값을 살펴보면 올해는 12월 FOMC가 끝났으므로 현재 목표금리(5.25~5.50%)의 중간값인 5.4%로 최종 결정되었습니다. 하지만 2024년부터 5.1% → 4.6%, 2025년 3.9% → 3.6%로 하향되는 등 기준금리가 예상대비 훨씬 완화적인 스탠스로 바뀌어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3. 파월 의장 기자회견 내용 살펴보기
▷ 이후 제롬 파월(Powell) 의장 기자회견에서는 비둘기파적 발언이 나왔습니다.
▷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높다라고 발언하였고, 추가적인 긴축도 배제하지 않고 있음을 피력하였지만,
... But inflation is still too high, ...
... the Committee will take into account the cumulative tightening of monetary policy, ...
▷ 이 외 금리 인하를 시사하는 발언이 많이 나왔습니다.
- 금리 인상이 더 이상 기본 가정이 아니다.
Hiking rates isn't the base case anymore.
- 이제 금리정책 완화에 대해 논의해야할 시점이다 등 그간 언급되지 않았던 이야기를 많이 하였습니다.
Just at beginning of discussion on policy easing
4. FOMC 후 시장 반응
▷ 시장은 뜨겁게 반응하였습니다. S&P500 +1.4%, NASDAQ +1.4% 등 주가는 금리인상 사이클 종료되었다는 소식에 급등하였고,
▷ 미국 국채도 2년물 -30.2bp 하락한 4.43%, 10년물 -17.8bp 하락한 4.02%, 30년물 -13.0bp 하락한 4.18% 기록하며 금리는 금락하였습니다.
▶ 저번 금융통화위원회 결과에서도 이야기했었지만, FOMC에서 이렇게 완화적 스탠스로 이어갈 경우, 국내 금리에 미치는 영향도 상당할 것으로 보입니다. 향후 성장률과 물가 지표가 더 빠른 수준으로 하락할 경우 현재의 금리 하락세는 가속화 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채권, 금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Fed Watch와 금리인하, 각국 중앙은행 총재 발언 정리 (2) | 2023.12.19 |
---|---|
기획재정부, 개인투자자용 국채 출시와 30년 국채선물 시장 등 선진화 내용 (0) | 2023.12.18 |
12월 ECB, BoE 금리 결정 내용과 경제 전망 변화, 채권시장 반응 정리 (0) | 2023.12.15 |
기준금리 밑으로 떨어진 채권 금리, 그 이유 (2) | 2023.12.07 |
2023년 11월 금융통화위원회 결과 및 시장금리 반응, 향후 전망 (0) | 2023.11.30 |